신생아 후비공 폐쇄(후비공 폐쇄/선천성 후비공 폐쇄), Choanal atresia of newborn infants

posted in: Uncategorized | 0

신생아 후비공 폐쇄(후비공 폐쇄/선천성 후비공 폐쇄). Choanal atresia of newborn infants

101.jpg

그림 104-1. 선천성 후비공 폐쇄.

a-탐침, b-비강 후면에서 본 선천성 후비공 폐쇄.

탐침 끝이 가리키고 있는 비강 후부에 선천성 후비공 폐쇄가 생겨 있다.

참조문헌; Used with permission from Clinical Educational Aid, Ross Laboratories, Columbus, Ohio, USA와 소아가정의학백과

102.jpg

그림 104-2. 선천성 후비공 폐쇄.

a-탐침의 끝이 있는 후비공이 폐쇄되었다. b-탐침으로 후비공 폐쇄로 진단하고 있다.

참조문헌; Used with permission from Clinical Educational Aid, Ross Laboratories, Columbus, Ohio, USA와 소아가정의학백과

신생아 후비공 폐쇄의 종류
  • 비강의 맨 뒤 부분을 후비공이라고 한다.
  • 후비공은 비강의 맨 뒤에 있고 그 후비공은 인두 강으로 바로 연결된다.
  • 후비공의 한쪽 또는 양쪽이 선천성으로 폐쇄될 수 있다.
  • 양쪽 후비공 또는 한쪽 후비공이 전부 또는 일부가 폐쇄될 수 있고 후비공이 점막층으로 폐쇄될 수 있고 후비공이 뼈로 폐쇄될 수 있다.
  • 이렇게 생긴 선천성 기형을 후비공 폐쇄, 선천성 후비공 폐쇄 또는 신생아 후비공 폐쇄라고 한다.
  • 후비공이 선천성으로 폐쇄될 수 있고 후천성으로 폐쇄될 수 있다.
  • 후비공이 후천성으로 폐쇄되면 후천성 후비공 폐쇄라고 한다.
후비공 폐쇄 종류
  1. 양칙성 후비공 폐쇄,
  2. 일칙성 후비공 폐쇄,
  3. 골성 후비공 폐쇄,
  4. 점막층성 후비공 폐쇄,
  5. 선천성 후비공 폐쇄,
  6. 후천선 후비공 폐쇄,
  7. 완전 골성 후비공 폐쇄,
  8. 양측성 골성 선천성 후비공 폐쇄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소아가정간호백과]-제 3권 신생아, 영유아, 학령기와 사춘기 아이들의 성장발육-신생아의 코 참조.

후비공 폐쇄 발생률
  • 신생아 후비공 폐쇄는 5000~7000 생존 신생아들 중 1명에게 생긴다(출처;Contemporary pediatrics, November 2008. p.38).
  • 그 중 ⅔에서 한 쪽에만 생긴다.
  • 남아들보다 여아들에게 더 잘 생긴다.
  • 남여 발생 비율은 2:1이다.
  • 왼쪽보다 오른쪽에 2배 더 생긴다.
  • 후비공 폐쇄의 90%는 뼈로 막혀 생긴 골성 후비공 폐쇄이고
  • 10%는 점막층으로 막혀 생긴 점막층성 후비공 폐쇄이다.
후비공 폐쇄와 공존이환(동반 질환)
  • 신생아 후비공 폐쇄만 있는 신생아에게 다른 선천성 기형이 없이 생길 수 있고
  • 안(눈)조직 결손증,
  • 심장 기형,
  • 지능 저하,
  • 성장 지연,
  • 생식기계 이상,
  • 귀 이상 등 기형을 동반할 수 있고,
  • 때로는 다운 증후군,
  • 알펄트 증후군,
  • 크로우존,
  • 피에르 로빈 증후군 등의 드문 병과 동시 있을 수 있다.
  • 그런 드문 병과 함께 생길 때가 더 많다. (출처;Contemporary pediatrics, November 2008. p.38).
후비공 폐쇄의 증상 징후
  • 양쪽 후비공 폐쇄가 있는 선천성으로 갓 태어난 신생아는 코를 통해 숨을 전혀 쉴 수 없기 때문에 태어나자마자 심한 호흡곤란이 생기고 피부가 새파랗게 질릴 수 있고 전신 청색증이 생길 수 있다.
  • 이 기형이 한쪽 비강 후부에 있는 후비공에만 있을 때는 거의 정상적으로 숨 쉴 수도 있고 심한 호흡곤란이 생길 수도 있다.
  • 심한 호흡곤란이 생기는 동시에 전신 청색증도 생기는 것이 보통이다.
  • 숨을 쉬려고 노력할 때 앞가슴이 흉강 속으로 빨려들어 가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 아기가 우는 동안 입을 벌리고 입으로 숨을 쉴 수 있기 때문에 청색증이 일시적으로 없어지거나 덜 하는 것이 보통이다.
  • 젖이나 인공영양을 제대로 빨아먹을 수가 없고 기본 생명유지를 하기가 대단히 위험한 기형이다.
후비공 폐쇄의 진단
  • 콧구멍을 통해 비강 속에 가는 피딩 세관(Feeding tube)이나 탐침을 집어넣어 그 세관이 콧구멍과 비강 속을 통과한 후 후비공을 통과해서 인두강 속으로 나오는지 안 나오는지를 알아보는 검사로 이 기형을 진단하기도 한다(그림 101, 102 참조).
  • 조영물을 콧구멍 속을 통해 비강 속에 넣고 조영물이 인두 강 상부 속으로 흘러나오나 알아보기 위해 코 X-선 사진을 찍어 진단할 수 있다.
  • 그림 101, 102와 같이 탐침으로 진단할 수 있다.
  • 벌브 주사기(Bulb syringe)로 콧구멍을 막을 때 숨 쉬는 공기로 벌브주사기 속이 차는지 알아 진단 할 수 있고,
  • 고실계측계로 진단하기도 한다.
  • 솜털을 얇고 가늘게 펴서 환아의 콧구멍 가까이에다 대고 솜털이 숨 쉬는 대로 콧구멍, 비강 등을 통해서 공기가 정상적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지 알아보고 진단하든지
  • 비강 CT 스캔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후비공 폐쇄의 치료
  • 응급으로 치료한다.
  • 입을 통해서 숨을 쉬게 한다.
  • 우선 경구 기도 관을 입안에 넣어주고 그를 통해 숨을 쉬게 하고 가능한 한 조기에 폐쇄된 후비공을 수술로 치료한다.
  • 경구 기도 관을 입안에 삽입해 그 기도 관을 통해 숨 쉬게 치료하다가 적기에 선택적 수술 치료한다.
  • 비공을 통해 수술하고 수술 결과는 일반적으로 좋다.

Neona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congeni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Choanal atresia of newborn infants 신생아 후비공 폐쇄(후비공 폐쇄/선천성 후비공 폐쇄)

Choanal atresia of newborn infants

101.jpg

Figure 104. Congeni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a-probe, b-congeni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seen from the posterior nasal cavity. There is a congeni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in the posterior nasal cavity pointed to by the tip of the probe. References; Used with permission from Clinical Educational Aid, Ross Laboratories, Columbus, Ohio, USA and the Pediatric Family Medicine Encyclopedia

102.jpg

Figure 104. Congeni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a-the posterior nostril with the tip of the probe closed.

The b-probe is diagnosed as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References; Used with permission from Clinical Educational Aid, Ross Laboratories, Columbus, Ohio, USA and the Pediatric Family Medicine Encyclopedia

Types of neonatal post nostril obstruction

  • The posterior part of the nasal cavity is called the posterior nostril.
  • The posterior nostril is at the back of the nasal cavity and the posterior nostril leads directly to the pharyngeal cavity.
  • One or both of the posterior nostrils may be congenital obstruction. Both posterior nostrils or one posterior nostril may be occluded in whole or in part, the posterior nostril may be occluded with the mucous layer,
  • and the posterior nostril may be occluded with the bone.
  • This congenital malformation is called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congeni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or neona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 The posterior nostril can be a congenital obstruction and acquired congenital obstruction.
  • When the posterior nostril is closed as acquired, it is called acquired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Types of posterior nostril closure

  1. Bilater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2. unilateral posterior nostril closure,
  3. Osteogenic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4. Mucos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5. Congeni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6. acquired post nostril obstruction
  7. Complete bony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8. Bilateral bone congeni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Parents should also be at last the half -doctors-Pediatrics and Family Nursing Encyclopedia]-Volume 3 Growth and Development of Newborns, Infants, School-Age and Adolescent Children-See the nose of newborns.

The incidence of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 Neona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occurs in 1 in 5000 to 7000 surviving newborns (Source; Contemporary pediatrics, November 2008. p. 38).
  • Among them, it occurs only on one side of ⅔.
  • Neona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is more in girls than in boys.
  • The male and female incidence ratio is 2:1.
  • It occurs twice as much on the right side than on the left side.
  • 90% of the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is a bony obstruction of the posterior nostril.
  • 10% is mucosal lamellar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caused by clogging with the mucous layer.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and coexistence (combined disease)

  • Newborns with only neonat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can develop without other congenital malformations
  • Ocular (eye) tissue defect,
  • Heart deformity,
  • Impaired intelligence,
  • Growth retardation,
  • Reproductive system abnormalities,
  • It may accompany deformities such as ear abnormalities,
  • Sometimes Down syndrome,
  • Alpert syndrome,
  • Pierre Robison syndrome,
  • It can coexist with rare diseases such as Pierre Robin syndrome.
  • It is more often accompanied by such a rare disease. (Source; Contemporary pediatrics, November 2008. p.38).

Symptoms signs of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 Newborns born congenitally with bilateral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are unable to breathe through their nose at all, resulting in severe breathing difficulties as soon as they are born, the skin may become pale blue, and systemic cyanosis may develop.
  • When this anomaly is present only in the posterior nostril in one posterior nasal cavity, your baby can breathe almost normally or cause severe breathing difficulties.
  • It is common to develop severe breathing difficulties and systemic cyanosis at the same time.
  • When your baby tries to breathe, your baby may experience a phenomenon in which the baby’s anterior chest wall is sucked into the chest cavity.
  • It is common for cyanosis to go away temporarily or less, as the baby can open his mouth and breathe through his mouth while he is crying.
  • It is a very dangerous malformation that cannot suck milk or artificial nutrition properly and maintain basic life.

Diagnosis of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 Feeding tubes or probes are inserted through the nostrils into the nasal cavity, and the tubules pass through the nostrils and nasal cavity and then pass through the posterior nostril to determine whether they come out into the pharyngeal cavity or not.
  • It is also diagnosed (see Figs. 101 and 102). Diagnosis can be performed by taking a nasal X-ray picture to see if the contrast material is put through the nostrils into the nasal cavity and the contrast material flows into the upper part of the pharyngeal cavity. It can be diagnosed with a probe as shown in Figs. 101 and 102.
  • When you close your baby’s nostrils with a bulb syringe, you can diagnose whether the inside of the bulb syringe is filled with the air your baby’s breathing.
  • It is also diagnosed with special tools.
  • The cotton hair is placed near the baby’s nostrils, and then watch the cotton hair which can be moved in and out according to the baby breathing through the nostrils. Check whether the air normally enters and exits through the nostrils, nasal cavity, etc., and diagnoses. It also can be diagnosed with a nasal CT scan.

Treatment of posterior nostril obstruction

  • Treat as an emergency.
  • Let them breathe through their mouth.
  • First, an oral airway tube is put in the mouth, and through it, the closed nostril is treated with surgery.
  • An oral airway tube is inserted into the mouth to breathe through the airway tube, and then selective surgical treatment is performed in a timely manner.
  • Surgery through the nostrils and the results are generally good.

출처 및 참조 문헌

  • NelsonTextbook of Pediatrics 22ND Ed
  •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
  •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 Red Book 32nd Ed 2021-2024
  • Neonatal Resuscitation, American Academy Pediatrics
  • www.drleepediatrics.com 제1권 소아청소년 응급 의료
  • www.drleepediatrics.com 제2권 소아청소년 예방
  • www.drleepediatrics.com 제3권 소아청소년 성장 발육 육아
  • www.drleepediatrics.com 제4권 모유,모유수유, 이유
  • www.drleepediatrics.com 제5권 인공영양, 우유, 이유식, 비타민, 미네랄,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 www.drleepediatrics.com 제6권 신생아 성장 발육 육아 질병
  • www.drleepediatrics.com제7권 소아청소년 감염병
  • www.drleepediatrics.com제8권 소아청소년 호흡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9권 소아청소년 소화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0권. 소아청소년 신장 비뇨 생식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1권. 소아청소년 심장 혈관계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2권. 소아청소년 신경 정신 질환, 행동 수면 문제
  • www.drleepediatrics.com제13권. 소아청소년 혈액, 림프, 종양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4권. 소아청소년 내분비, 유전, 염색체, 대사, 희귀병
  • www.drleepediatrics.com제15권. 소아청소년 알레르기, 자가 면역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6권. 소아청소년 정형외과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7권. 소아청소년 피부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8권. 소아청소년 이비인후(귀 코 인두 후두)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9권. 소아청소년  안과 (눈)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0권 소아청소년 이 (치아)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1권 소아청소년 가정 학교 간호
  • www.drleepediatrics.com 제22권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 키우세요
  • www.drleepediatrics.com 제23권 사춘기 아이들의 성장 발육 질병
  • www.drleepediatrics.com 제24권 소아청소년 성교육
  • www.drleepediatrics.com 제25권 임신, 분만, 출산, 신생아 돌보기
  • Red book 29th-31st edition 2021
  •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21st Edition
  •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ition
  • 응급환자관리 정담미디어
  •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이상원 저
  • The pregnancy Bible. By Joan stone, MD. Keith Eddleman, MD
  • Neonatology Jeffrey J. Pomerance, C. Joan Richardson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임신에서 신생아 돌보기까지이상원
  • Breastfeeding. by Ruth Lawrence and Robert Lawrence
  • Sources and references on Growth, Development, Cares, and Diseases of Newborn Infants
  •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By Ross Lab. May 1989. p.10
  • Emergency care, Harvey Grant and Robert Murray
  •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 Quick Reference To Pediatric Emergencies, Delmer J. Pascoe, M.D., Moses Grossman, M.D. with 26 contributors
  • Neonatal resuscitation Ameican academy of pediatrics
  •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Pediatric Resuscitatio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Stephen M. Schexnayder, M.D.
  • Pediatric Critical Care,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James P. Orlowski, M.D.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 4권 모유모유수유이유 참조문헌 및 출처
  • 5권 인공영양우유, 이유, 비타민, 단백질지방 탄수 화물 참조문헌 및 출처
  • 6권 신생아 성장발육 양호 질병 참조문헌 및 출처
  •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Copyright ⓒ 2015 John Sangwon Lee, MD ., FAAP

미국 소아과 전문의한국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이상원 저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