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정상 체온과 미숙 신생아의 체온조절, Normal temperature of newborn infants and body temperature regulation in premature infants

posted in: Gold | 0

신생아 정상 체온과 미숙 신생아의 체온조절, Normal temperature of newborn infants and body temperature regulation in premature infants   사진 2. 신생아들은 스스로 체온을 원숙하게 조절하지 못한다. 특히 미숙 신생아로 태어난 신생아들은 스스로 체온조절을 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신생아실에서는 신생아의 체온을 … Continued

신생아의 저체온, Hypothermia in newborn infants

posted in: Gold | 0

신생아의 저체온, Hypothermia in newborn infants 사진 73. 신생아들은 체온 조절을 미숙하게 한다. 그래서 체온이 조금만 떨어져도 몸이 쉽게 차지고 청색증이 쉽게 생길 수 있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사진 74. 어떤 이유로 체온 조절을 정상적으로 … Continued

신생아의 고열, High fever in newborn infants

posted in: Gold | 0

신생아의 고열, High fever in newborn infants 갓 태어나서 생후 28일까지 기간을 신생아기라 하고 그 기간의 아기들을 신생아들이라 한다. 생후 2~3일 경에 아무 감염병이 없는 신생아에게 생긴 탈수로 인해 열이 날 수 있다. 이 때 신생아가 모유수유나 인공영양을 충분히 섭취하지 … Continued

신생아에게 열이 날 때, Fever in newborn infants

posted in: Gold | 0

신생아에게 열이 날 때, Fever in newborn infants 사진 71. 미국에서는 유리 수은 체온계로 체온을 재는 것을 더 이상 권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리 수은 체온계로 체온을 재면 경제적이고 실용적이고 쓰기에 간편하다. 필요에 따라 항문 체온계로 신생아의 항문에서 체온을 잴 수 … Continued

신생아가 모유나 인공영양을 잘 먹지 않을 때(신생아가 잘 먹지 않을 때), Poor feeding in newborn infants

posted in: Gold | 0

신생아가 모유나 인공영양을 잘 먹지 않을 때(신생아가 잘 먹지 않을 때), Poor feeding in newborn infants 건강한 신생아들이나 영아들 중 일부는 정상적으로 잠을 보통 때보다 좀 더 오랫동안 잘 수도 있고 덜 잘 수도 있다. 하루 24시간 동안, 모유나 인공영양을 … Continued

신생아 경련(신생아 발작), Neonatal seizures

posted in: Gold | 0

신생아 경련(신생아 발작), Neonatal seizures 사진 67. 신생아 경련은 두개강 내 출혈이나 뇌염, 선천성 감염병, 저 혈당증, 저칼슘증, 또는 산소결핍증 등으로 생길 수 있다. 저 혈당증으로 생긴 전신 경련은 정맥 포도당액투여로 치료할 수 있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 Continued

신생아 사이아노시스(청색증/자색증/치아노제/시이노제), Cyanosis of newborn infants

posted in: Gold | 0

신생아 사이아노시스(청색증/자색증/치아노제/시이노제), Cyanosis of newborn infants 사진 61. 선단 청색증(말단 청색증, 첨선 자람증) 빈혈도 없고 심장병도 없는 갓 태어난 아기의 손발이 일시적으로 파랗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사진 62. 왼 손이 선단 청색증으로 파랗다. 아기의 얼굴이 … Continued

신생아의 구토, Vomiting in newborn infants

posted in: Gold | 0

신생아의 구토, Vomiting in newborn infants  그림 60. a-분문 괄약근(O)이 미약해서 분문이 쉽게 열려 질수 있고 그로 인해 먹은 위 내 인공영양 등을 넘길 수 있다. b-분문이 꼭 닫쳐 있으면 먹은 것을 넘기지 않는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