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 혈액형 부적합으로 생기는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due to ABO incompatibility(ABO incompatibility)

posted in: Gold | 0

ABO 혈액형 부적합으로 생기는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due to ABO incompatibility(ABO incompatibility) 표 3. ABO 혈액형, 항체 항원 ABO 혈액형의 종류 혈장 내 응집소 미국 사람들의 ABO 혈액형의 빈도(%) O A1 항체, B 항체 45% A1 A2 B 항체 41% B A1 항체 10% A1B A2B … Continued

Rh 인자 부적합으로 인한 신생아 황달(Rh 부적합 황달), Neonatal jaundice due to Rh incompatibility(Rh incompatibility jaundice/Rh incompatibility)

posted in: Gold | 0

Rh 인자 부적합으로 인한 신생아 황달(Rh 부적합 황달), Neonatal jaundice due to Rh incompatibility(Rh incompatibility jaundice/Rh incompatibility) 그림 124. Rh 인자 부적합으로 인한 신생아 황달이 생기는 기전(1) 그림 좌; 태아의 Rh(+)항원이 임신부의 Rh(-) 핏 속으로 들어간다. 그림 중; 임신부의 핏 … Continued

신생아 생리적 황달, Neonatal physiological jaundice

posted in: Gold | 0

신생아 생리적 황달, Neonatal physiological jaundice 사진 119. 신생아 생리적 황달. 병적 황달이 아니고 생리적으로 생기는 황달을 생리적 황달이라고 한다. 드물게는 생리적 황달과 병적 황달이 함께 있을 수 있다. Copyright ⓒ 2013 John Sangwon Lee, MD., FAAP 사진 120.Rh 부적합으로 … Continued

신생아 황달(신생아 빌리루빈 과잉혈/신생아 빌리루빈 과잉혈증/신생아 과빌리루빈 혈증/신생아 고빌리루빈 혈증), Neonatal jaundice(Neonatal hyperbilirubinemia)

posted in: Gold | 0

신생아 황달(신생아 빌리루빈 과잉혈/신생아 빌리루빈 과잉혈증/신생아 과빌리루빈 혈증/신생아 고빌리루빈 혈증), Neonatal jaundice(Neonatal hyperbilirubinemia) 그림 117.심한 신생아 황달 출처: Ross Laboratories, Columbus, Ohio 43216, Division of Laboratories, USA와 소아가정간호백과 신생아에게 생기는 황달을 통틀어 신생아 황달이라 하고 신생아 빌리루빈 과잉혈, 신생아 빌리루빈 … Continued

신생아 탈수 열, Dehydration fever in newborn infants

posted in: Gold | 0

신생아 탈수 열, Dehydration fever in newborn infants 신생아 탈수 열의 원인 감염병도 없고 열나게 하는 다른 병도 없는데 생후 신생아가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해 탈수가 되고 그 탈수로 인해 미열 내지 고열이 날 수 있다. 이렇게 나는 열을 신생아 … Continued

신생아 혈소판 감소증, Neonatal thrombocytopenia

posted in: Gold | 0

신생아 혈소판 감소증, Neonatal thrombocytopenia 신생아의 혈소판의 수가 정상 이하보다 낮으면서 증상징후가 나타나면 신생아 혈소판 감소증이라고 한다. 신생아 혈소판 감소증의 원인 모체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전신 홍반성 낭창, 약물 유발성 혈소판 감소증, 모체 감염성 질환, 임신 중독,가족성 혈소판 감소증, … Continued

신생아 적혈구 증가증(다혈구증), Neonatal polycythemia (Neonatal erythrocytosis)

posted in: Gold | 0

신생아 적혈구 증가증(다혈구증), Neonatal polycythemia (Neonatal erythrocytosis) 적혈구는 골수에 있는 혈구 모세포(줄기세포)→전적혈구 모세포→적혈구 모세포→정상 아세포→망상 적혈구로 발달된 후 순환 혈액 내 적혈구로 최종 발달된다. 체내 총 적혈구의 수가 정상 이상으로 증가되는 병을 적혈구 증가증이라 한다. 적혈구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되면 헤모글로빈의 … Continued